과학기술정책·융합 연구실은 국가의 초(超)연결 산업융합 정책 방향과 연계하여 과학기술정책 이슈를 발굴하고 융합기술 연구와 창의적인 인재 육성의 Control Tower 역할을 수행한다.
과학기술 관련 교육 및 연구의 초연결 생태계 허브 역할과 함께 과학기술정책 수립과정의 정책 과학화 기반 마련을 통해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자 한다.
[과학기술정책]
정보통신정책 : 인공지능의 역사적 배경과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/문화/관계/사고 등의 변화를 살펴보고 인공지능 기술, SW응용기술,빅데이터,블록체인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안과 안전성,인간의 자율적인 사고의 문제,거버넌스 등의 정책 이슈를 도출한다.
그린환경정책 : 미래에너지 과학기술정책 및 산업정책 대안을 위해 에너지정책, 에너지경제, 에너지 전환기술, 에너지 고효율화(제로 에너지화), 에너지 저장 기술, 에너지 소재 및 소자기술,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(풍력, 태양광, 연료전지, 수소 에너지 등), 그린 모빌리티 기술(자율차, 전기차, 수소차, 충전 인프라 등)을 연구한다.
첨단의료정책 : 바이오헬스 분야(임상, 의학,바이러스, 기능성 소재 등)의 정책혁신과 선제적 투자의 방향성과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 바이오헬스 산업의 의미, 핵심 전략 및 정책추진,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 및 미래에 대해 연구한다.
[산업융합기술]
- 스마트그리드 : ICT 기술을 활용한 신재생에너지(풍력, 태양광, 연료전지 등)와 같은 분산전원을 ESS와 EMS 기술을 통하여 전력 계통에 효율적인 연결을 통한 에너지 최적화를 만들어 준다.
이와 같이 본 연구실에서는 가정(HEMS), 빌딩(BEMS), 공장(FEMS) 등의 에너지 효율화 사업과 태양광, 풍력, 연료전지 등의 분산전원과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에너지 최적화를 이루는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그리고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및 플랫폼 관련사업, 전자파 플라즈마를 이용한 청정발전시스템 등을 주로 연구한다.
- 스마트팩토리 : 실제 현실을 3D 컴퓨터 그래픽 환경으로 구성하고 제어 프로그램 특성과 관측 Log특성모델을 혼합하여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마치 실제와 같은 환경으로 구축하는 CPS(Cyber Physical System)를 연구하고 MES, EMS와 연계하는 모델을 연구한다.
- 초연결가상화 : VR/AR/MR을 활용하여 인간의 시각, 청각 등 감각을 통하여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내부에서 가능한 것을 현실인 것처럼 유사 체험하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의 하나. 말 그대로 현실이 아닌 세계를 연구하고 화성시 동탄에 VR/AR 리빙랩을 구축한다.
구분 | 내용 |
---|---|
지도교수 | 이주연(JooYeoun LEE) |
실험실(LAB) 위치 | 팔달관(Paldal Hall) #722 |
전화번호 | 031-219-3891 |
홈페이지 | stp.ajou.ac.kr |
담당자 / 이메일 | 남문주(Moonju Nam) / dkssud2442@ajou.ac.kr |